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주요기사



광주 초등학교 방학 중 무상급식 추진 주목…"전국 첫 사례"

돌봄교실·방과후학교 학생 대상 검토…'거점 급식실 운영학교' 등 거론
연중 학사 업무 이어져 학교 책임·교육공무직원 근무·예산 등 과제도

 

 

광주시교육청이 올해 여름방학 때부터 초등학교 무상급식을 추진하고 있어 주목된다.

 

15일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시 교육청은 이정선 교육감 당선인의 방학 중 급식 지원 공약에 따라 다음 달부터 시작하는 여름방학 때부터 일부 초등학생들에게 급식을 제공할 계획이다.

 

방학 중 급식대상 학생은 돌봄교실과 방과후학교 참여자 등이다.

 

돌봄교실은 초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운영되는데 올해 여름방학에는 6천명 가량이 참여할 것으로 추산했다.

 

여기에 방과후학교 참여자가 2만명 가량인 것을 고려하면 방학 중 급식대상 학생은 2만6천명 가량으로 예측했다.

 

광주 전체 초등학교가 154개교인 점을 고려하면 한 학교당 160명가량이 방학 중 급식 대상이다.

 

방학 중 급식 방식으로는 학교 급식실 운영과 매식(도시락 제공) 등 2가지 방안이 있을 수 있는데 도시락 제공은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방학 중 돌봄교실 참여 학생들은 수익자 부담원칙에 따라 매식 등을 한다.

 

시 교육청 관계자는 "외부 업체에서 도시락을 공급하면 여름에는 식중독 등 위생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겨울에는 음식이 식어서 아이들이 거의 손을 대지 않는다"며 "일부 학부모들은 5천∼6천원짜리 도시락에 만족도가 떨어진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시 교육청은 방학 중에 학교 급식실 운영을 가장 현실적인 방안으로 검토하는 가운데 전체 초등학교 급식실을 운영하는 것은 인건비 등 예산과 실효성 측면에서 비효율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조리사, 조리원 등 급식실 종사자 대부분이 교육공무직원으로, 이들에게는 방학에는 인건비 지원이 안 됐다.

 

전체 154개 학교 급식실이 방학에 가동될 경우 인건비를 지원해야 한다.

 

현재 초등학교마다 조리사와 조리원 등 급식실에 3∼4명, 많게는 6∼7명 근무하고 있다.

 

따라서 돌봄교실과 방과후학교 참여자가 20∼30명 미만인 소규모 학교의 경우 급식실 운영 효과가 떨어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방학 중 급식실이 운영되면 연중 학사업무가 이어지면서 일선 학교(장)의 관리·감독 책임 문제와 교육공무직 노조와 협의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뒤따른다.

 

시 교육청 관계자는 "학교마다 방학 중 급식실 운영 적정 학생 수가 몇 명이 될지 추산한 뒤 급식 방식을 정해야 한다"며 "'거점 급식실 운영학교'를 정하고, 급식실을 운영하지 않는 학교에 밥차 등을 통해 배식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시 교육청 또 다른 관계자는 "어떤 형식으로든 방학 중 급식을 하면 돌봄교실과 방과후학교 참여자가 늘어 급식실 운영이 활발해질 수 있다"며 "방학 중 무상 급식이 이뤄지면 전국 최초 사례가 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최신기사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