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시의회는 지난 2일 시의회 소회의실에서 ‘지역언론 위기 진단 및 공적역할 강화 모색’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하고 지역언론 발전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토론회는 이찬기·민덕희 의원 공동주최로 마련됐으며, 김행기·김채경 의원, 여수시 관계자, 학계 전문가, 언론인 등이 참석해 심도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주제발표에 나선 우희창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지역언론이 공공재로서 다양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지만, 독자 감소와 광고 축소 등으로 경영난에 빠지며 지역언론의 쇠퇴가 곧 지역사회의 위기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지역언론 발전지원 조례안'과 관련해 “명확한 지원기준과 구체적 사업을 담되, 언론과 위원회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정토론에서 마재일 남해안신문 취재부장은 “지역언론의 제한된 자원과 인력을 보완하기 위해 시민모니터단 운영, 온라인 모니터링 플랫폼 등 시민참여형 평가시스템이 필요하다”며, “지역축제에 언론이 협력해 공익적 콘텐츠를 확산시키고 공동체 의제 발굴과 효과분석을 통해 지역과 언론의 상생을 도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자유토론에서는 “지역언론이 여수산단 위기와 같은 주요 현안에 대해 공동협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과 함께, “조례안에 명시된 위원회 구성 중 민간위원 비율을 확대해 언론의 독립성과 공정성을 보장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 다른 참석자는 “청년 주도의 섬 이야기 발굴사업 등 지역 특성에 맞는 지원사업이 필요하다”며, “지역언론이 공공재적 성격을 지니는 만큼 당당히 필요한 요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덕희 의원은 “언론 지원은 단순히 위기극복 차원을 넘어 데이터 민주주의 인프라, 디지털 거버넌스, 팩트체크 시스템, 문화 기록, 지역경제 선순환 모델 등 새로운 시대적 전환에 대응하는 전략적 투자”라며, “특히 시정부는 언론의 독립성을 보장할 수 있는 위원회 운영을 마련해 지역언론이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뒷받침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