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참배하는 김명수 대법원장] (사진=연합)
김명수 대법원장은 12일 "사법부 구성원도 5·18 정신을 이어받아 사법 민주화 완성에 최선을 다할 의무가 있다"고 밝혔다.
김 대법원장은 이날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한 뒤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5·18 정신은 모든 국가 권력이 국민에게 있다는 국민 주권주의, 나아가 민주주의를 몸으로 보여준 상징적 결과물"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5·18 정신을 흔들림 없이 계승해 참된 사회를 만들고 그 사회를 통해 민족의 번영을 추구하는 것이 우리의 사명"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앞으로도 멈추지 않고 이와 같은 노력이 계속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말했다.
일제 강제동원 문제와 관련해 '제3자가 피해자들에게 손해배상금을 지급하는 정부의 방안은 사법주권을 침해한 것'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답변하지 않았다.
김 대법원장은 이날 광주·전남 지역의 각 법원을 격려 방문하는 첫 일정으로 5·18 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했다.
[5·18묘지 방명록 쓰는 김명수 대법원장]
참배를 하기 전 그는 방명록에 '국민 주권의 상징인 5·18 민주화운동의 정신을 오롯이 계승하여 참된 민주사회를 이루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참배단에 헌화와 분향을 한 김 대법원장은 고(故) 김경철, 고(故) 윤상원, 고(故) 전재수 열사 등의 묘역을 둘러본 뒤 안장자들의 영정사진이 있는 유영봉안소, 추모관 등을 돌아보는 것으로 참배를 마쳤다.
김 대법원장은 이날 오후부터 2박 3일 일정으로 전남 순천과 해남, 장흥, 목포 등에 위치한 법원(지원)을 격려 방문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