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1주기와 관련해 광주광역시가 책임 있는 자세로 추모와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광주광역시의회 정다은 의원(더불어민주당·북구2)은 11월 26일 열린 제338회 제2차 정례회 본회의 5분발언에서 “광주시는 참사 희생자와 유가족의 고통을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 된다”며 “1주기를 앞둔 지금, 적극적인 추모 준비와 실질적인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다은 의원은 “지난해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가 발생해 많은 국민이 목숨을 잃었다”며 “참사 발생 332일이 지났지만 유가족들은 여전히 ‘가족이 왜 돌아오지 못했는지’를 밝히기 위해 용산과 무안, 전남경찰청을 오가며 고통 속에 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탑승자 181명 중 179명이 희생됐고, 이 가운데 최다 희생 규모인 81명이 광주시민이었다”며 “광주시가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이 행정의 기본적 책무”라고 지적했다.
또한 참사 이후 3명의 유족이 유명을 달리한 사실을 언급하며 “참사의 피해는 탑승자에 그치지 않고 그들의 가족들로 이어지고 있음에도, 사조위(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가 국토부(국토교통부)로부터 독립하지 못한 탓에 진상규명은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고 지원 역시 터무니없이 부족하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이날 국토위 법안소위에서 참사 관련 조정안이 심의되고 국토부 장관의 무안공항 방문이 예정된 점을 들어, “중앙정부와 정치권의 변화를 끌어내기 위해서라도 광주시는 다가올 1주기에 진심을 담은 준비와 지원에 최선을 다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정다은 의원은 ▲‘광주시민 추모기간’ 지정 운영 및 추모대회 개최, ▲추모행사 전담부서 지정 및 별도 긴급돌봄서비스 지원, ▲광주시청·송정역 분향소 설치 및 12월 29일 오전 9시 3분 추모 사이렌 발령, ▲5·18민주광장-무안공항 간 추모 셔틀버스 운영, ▲유가족 트라우마 대응을 위한 치유공간 조성을 제안하며 “광주시가 종합적이고 지속 가능한 추모·지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단순한 행정 절차를 넘어 유가족의 아픔을 시민과 함께 나누는 공동체적 책임이 필요하다”며 “광주시가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모범이 되는 도시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또 정 의원은 “이번 참사는 우리 모두의 일임을 일깨우는 만큼, 우리의 기억이 진상규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광주시민의 마음과 연대가 모이길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