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이성해)는 성남~복정 광역 BRT (Bus Rapid Transit : 간선급행버스체계) 사업에 대한 개발계획을 12월 30일 승인했다고 밝혔다. 성남~복정 광역 BRT 사업은 총 길이 10.2km(사업비 419억원, 국비 50% 지원)의 간선급행버스체계 구축을 위한 사업(사업시행자 : 경기도, 성남시)으로 「서울 복정역~경기 성남 모란역~성남 남한산성 입구」을 24시간 중앙버스차로로 조성하여 2025년부터 2026년까지 단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국비지원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성남~복정 구간을 잇는 광역 BRT가 운행을 시작하면 대중교통 수요가 많고 혼잡도가 높은 서울 남부지역의 대중교통 체계가 개선되고 수도권 광역경제생활권 구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도와 성남시(시행자)는 개발계획 승인에 따라 ‘23년부터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을 착수하고 지역주민과 전문가 의견 등을 수렴하여 실시계획 승인 등의 절차를 거쳐 ‘23년 말부터 착공할 예정이다. 성남∼복정 광역 BRT 운영시 일반차로 및 버스전용차로의 평균통행 속도가 증가(일반차로 1.6km/h, 버스전용차로 14.3km/h)할
[출처 :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는 2023년도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을 단독가구 202만 원, 부부가구 323만 2,000원으로, 2022년 대비 22만 원(단독가구 기준)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노인 단독가구의 경우 2023년 1월부터 월 소득인정액(노인가구의 근로소득, 연금소득 등의 소득과 일반재산, 금융재산, 부채 등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을 합산한 금액)이 202만 원 이하이면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게 되며, 2022년도에 소득인정액이 180만 원을 초과하여, 기초연금을 받지 못하던 어르신들도 2023년도에는 소득인정액이 202만 원을 넘지 않으면 기초연금을 신규로 받을 수 있다. 2023년 선정기준액이 높아진 것은 국민연금 수급자가 크게 증가(‘21.12월 489만 명 → ‘22.10월 530만 명)하고, 65세에 신규진입하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경제적 수준이 지난해보다 상대적으로 개선된 점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근로소득 공제액은 2023년도 최저임금 인상률 5%를 반영, 2022년도 103만 원에서 108만 원으로 상향 조정하여, 일하는 어르신이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기초연금 수급에 있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였다. 소득인정액이 202
[출처 :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와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2023년 올해의 섬』으로 대한민국 최서남단에 위치한 전남 신안군 가거도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행안부와 해수부는 해양 영토 보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섬의 가치를 홍보하기 위해 올해 1월부터 2029년 1월까지 매년 1월마다 영해기점 유인도 7개(가거도, 상왕등도, 여서도, 거문도, 홍도, 어청도, 횡도)를 ‘올해의 섬’으로 공동 선정하여 소개하기로 했다. 영해기점은 우리나라 영해를 결정하기 위한 영해기선이 만나는 곳으로 23개가 있으며 이중 유인도는 7개, 무인도는 13개이다. 2023년 올해의 섬으로 선정된 ‘가거도’는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에 속한 대한민국 최서남단에 위치한 섬으로 300여 세대가 거주하는 섬이다. 가거도는 옛날부터 우리나라와 중국 사이의 해상 길목이자 경계를 이루는 섬으로서, 중요한 지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1907년에는 가거도 등대를 세워, 우리 영해로 들어서는 선박에게 대한민국임을 알려주는 동시에, 인근을 항해하는 선박의 안전까지 책임지는 역할을 하고 있다. 가거도는 뛰어난 풍경을 자랑하는데, 독실산 정상과 회룡산·장군바위, 돛단바위·기둥바위, 섬등반도(20
[출처 : 환경부] 환경부는 2023년 1월 2일부터 6월 30일까지 무공해차통합누리집(www.ev.or.kr)을 통해 누구나 공동주택, 사업장 등에 필요한 전기차 공용 완속충전기를 신청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간 완속충전기 설치 신청은 민간 충전사업자만이 할 수 있었으나, 앞으로는 공동주택 입주자대표 등이 직접 신청할 수 있도록 절차가 바뀌었다. 이는 한 지점에 과도한 충전기 설치로 인한 미사용 및 방치 충전기 증가 문제를 해소하고, 설치를 기피하는 공동주택(연립주택 등)과 개인 사업장 등의 충전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환경부는 이번 신청방식 전환이 전기차 충전사업자 간의 경쟁 과열로 인한 분쟁 완화에도 도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전기차 공용 완속충전기 설치 희망자는 ‘무공해차통합누리집-직접신청’에 접속하여 원하는 사업수행기관을 1~3지망까지 선택하여 신청할 수 있다. 신청 시 건축물대장이 필요하며, 설치 희망자가 건물소유자 또는 입주자대표가 아닌 경우 허위 신청 방지를 위해 입주자 80% 이상의 동의서 또는 회의록도 필요하다. 환경부는 ‘사전 전문 진단(컨설팅)’을 실시하여 입주자대표 및 지자체 등에 적정 충전기 수량부터 적절한 설치장소까
[출처=고흥군청] 전남 고흥군은 지난 28일 고흥 하나웨딩홀에서 고흥군 사회복지사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고흥군사회복지사협회(회장 송지한) 주관으로 공영민 고흥군수를 비롯한 관내 기관 단체장, 복지시설 관계자, 협회 회원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지역의 사회복지사 화합의 장으로 마련된 이 날 행사는 사회복지 네트워크 활성화와 협회에 대한 소속감 증진 및 소통의 자리로 한자리에 모여 2022년을 마무리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행사는 유공자 표창, 사회복지사협회장 인사 말씀, 군수 및 군의장 격려사, 기념 촬영 순으로 진행됐으며 특히 어려운 근무 여건 속에서도 투철한 사명감으로 맡은바 소임을 다하고 있는 우수 사회복지사 10명에게 군수표창 등을 시상했다. 공영민 군수는 격려사를 통해 "우리군은 노인, 장애인, 다문화가정, 조손가정 등 돌봄과 사회적 관심을 필요로 하는 복지 취약계층이 많은데, 사회복지사들이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는 모습에 항상 감사한 마음이다"고 말했다. 고흥군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속해서 사회복지사의 처우를 개선하고 복지증진과 지위 향상을 위해 필요한 시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는 29일 7만명(예산 944억원) 규모의 「2023년 소상공인 온라인 판로지원사업 통합공고」를 했다. 2023년도 소상공인 온라인 판로지원사업은 ① 소상공인 온라인 진출 역량 강화, ② 온라인 쇼핑몰 입점 등 진출 지원, ③ 소상공인의 온라인 진출을 돕는 진출 기반 조성 운영으로 구성돼 있다. 이번 소상공인 온라인 판로지원사업 통합공고에는 소상공인의 온라인 시장 진출 촉진을 위한 총 18개 사업에 대한 지원대상, 지원내용, 추진일정 등이 담겨있다. 2023년 ‘소상공인 온라인 판로지원사업’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는 "온라인 진출 역량강화"로 소상공인의 디지털 역량 제고를 위해 이러닝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대학에 실습 중심의 전문교육과정을 확대(‘22. 10개 → ’23. 20개 내외)한다. 또한, 소상공인 제품이 온라인 판매에 적합하도록 브랜드 및 디자인 개선을 지원하고, 밀키트 상품에 대한 소상공인의 높은 관심을 반영해 밀키트 기획, 메뉴 및 조리환경 분석 등에 필요한 컨설팅 지원도 신설한다. 아울러 온라인 유통전문가(전담셀러)를 소상공인과 매칭해 온라인 진출 컨설팅부터 홍보 콘텐츠 제작, 온라인몰 입점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는 총 3조 6,607억원 규모의 「2023년 중앙부처 및 지자체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를 30일에 하였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예비)창업자에게 국내 창업지원사업 정보를 알기 쉽게 제공하고자 ’16년부터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를 시행해 오고 있으며, ‘22년부터는 중앙부처와 지자체(광역, 기초)에서 운영하는 모든 창업지원사업을 대상으로 통합공고를 하고 있다. 이번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에는 103개 기관의 총 426개 창업지원사업이 포함돼 전년 대비 지원사업수가 48개 증가했으며, 총 예산은 3조 6,607억원으로 전년(3조 6,668억원)과 유사한 수준이다. 사업유형별 규모를 지원예산액 기준으로 비교하면, 작년과 같이 융자 지원사업이 2조 75억원으로 가장 높은 비중 (54.8%) 을 차지하며, 이어서 사업화 (8,167억원,22.3%), 기술개발 (4,546.4억원, 12.4%), 시설‧공간‧보육 (1,568.6억원, 4.3%)유형 순이다. 반면, 사업 수 기준으로는 사업화가 172개로 가장 높은 비중 (40.4%) 을 차지하며, 이어서 시설‧공간‧보육 (107개, 25.1%), 멘토링·컨설팅 (74개, 17.4%), 행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벤처부는 2021년말 기준 벤처기업 37,686개사의 경영성과, 고용, 연구개발(R&D), 해외진출 등을 분석한 「2022년 벤처기업 정밀 실태조사」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2021년말 기준 37,686개사의 벤처기업(전체 벤처확인기업 38,319개사에서 휴폐업 등 633개사를 제외)의 총 종사자 수는 83만 4,627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말 기준 39,101개사가 고용한 817,297명 보다 2.1% 증가한 수치이다. 4대 그룹 전체 고용인력 72만명보다도 약 11만여 명이 많아 우리 고용시장에서 벤처기업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벤처기업은 2021년에 17,330명의 신규고용을 창출했으며, 기업당 평균 종사자 수 역시 22.1명으로 전년 대비 5.7%나 증가했다. 2021년 벤처기업의 총매출액은 223조원으로 전년 대비 7.8% 증가했고, 기업 당 평균 매출액은 59.19억원으로 전년도 평균 52.91억원 보다 1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기업의 총 매출은 재계 기준으로 2위 수준이며, 2010년도부터 줄곧 삼성에 이어 2위 수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는 국내 소재·부품·장비 분야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 및 기술사업화 역량 제고를 위해 ‘23년 1월 16일부터 1월 30일까지 ‘2023년 상반기 Tech-Bridge활용 상용화 기술개발사업’ 20개 과제 참여기업을 모집한다. ‘Tech-Bridge활용 상용화 기술개발사업’은 독자적 기술개발이 어려운 중소기업이 대학ㆍ연구기관 보유 핵심기술을 이전받아 사업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대표적인 소·부·장 분야 상용화 연구개발(R&D) 사업으로 ’23년 예산은 293.64억원이다. 그중 ’23년에는 40개 과제를 상·하반기에 나눠 신규 선정(상·하반기 각 20개)할 예정이다. ’23년도 상반기 지원대상 과제로는 기술수요조사를 통해 발굴된 과제 중 산·학·연 전문가 검토로 확정된 219개 공모과제(RFP, Request For Proposal) 중 20개가 선정될 예정이며, 중소기업이 미래 기술우위를 선점하고 세계 가치사슬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발굴대상에 미래선도품목을 추가했다. 미래선도품목은 초미세 마이크로 LED 소재부품, 3D AR용 메타렌즈 소재, 차세대 전고체전지 소재, 이종 직접 방열소재, 대체육
[출처 : 고흥군청] 고흥군은 지난 28일 마리안느 마가렛 나눔연수원에서 졸업생 86명이 참석한 가운데 영예로운 제1기 고흥군여성대학 졸업식을 개최했다. 제1기 여성대학은 30대부터 7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참여와 더불어 여성들의 배움에 대한 강한 의지로 95명의 수강생 중 91%인 86명이 이날 졸업의 영예를 안았다. 올해 처음 개강한 고흥군여성대학은 지난 9월 14일부터 12월 21일까지 총 14회에 걸쳐 여성의 자기 성장 욕구 충족 및 지역사회 참여 확대를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리더십 향상 교육 과정으로 교양, 경제, 건강 등 다양한 분야의 유명 강사를 초빙해 마리안느 마가렛 나눔연수원에서 운영돼 수강생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공영민 고흥군수는 "바쁜 일상에서도 배움의 열정으로 성실하게 참여해 졸업하게 된 것을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여성대학의 배움을 통해 지역사회와 고흥의 변화 발전을 앞당기는 유능한 여성지도자로 거듭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아울러, 박정미 학생회장은 "매주 먼 길 마다하지 않고 자기 계발과 지위 향상을 위한 열정으로 함께했던 시간들이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것"이라며, "여성대학 제1기 졸업생이라는 자부심을 갖고 각자의 위치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