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체적 부실로 국가적 망신살을 뻗친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에 대한 감사원 감사 결과가 나오면서 1년 넘게 봉인된 검찰 수사에도 관심이 쏠린다.
11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시민단체 활빈단은 2023년 8월 잼버리가 끝나자마자 대회 파행의 책임을 묻겠다며 개최지의 광역자치단체장인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를 직무 유기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대검찰청은 이 사건을 전주지검으로 배당했으나 이때는 감사원 감사가 진행 중이어서 수사는 더 나아가지 못했다.
당시 이창수 전주지검장(현 서울중앙지검장)은 "감사원의 감사 결과를 참고하는 게 낫지 않겠나 생각한다"며 사안을 신중히 들여다보겠다는 뜻을 에둘러 밝힌 바 있다.
감사원은 전날 발표한 감사 결과에서 여성가족부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여러 정부 부처와 잼버리 조직위원회, 유치 지자체인 전북도 모두 대회 준비와 진행에 부실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조직위는 정부 차원 보완책을 마련하지 못하게 한 원인을 제공했고 주무 부처인 여가부는 관리·감독을 허투루 했으며, 전북도는 대회에 부적합한 부지 선정 및 배수로를 부실하게 설치한 책임이 이번 감사에서 드러났다.
감사원은 허위 보고 등 범죄 혐의점이 있는 공무원 6명에 대해서는 검찰에 수사 자료를 송부하고, 여가부와 전북도에는 기관 차원의 주의를 요구했다.
시민단체로부터 고발된 김 지사는 이번 감사에서 위법 사항이 드러나지 않아 감사원의 수사 요청 대상에서는 빠진 것으로 파악됐다.
전주지검은 감사 결과를 충분히 검토한 이후에 대검의 사건 배당을 지켜보고 접수된 고발 건에 대한 수사를 논의하겠다는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검찰 관계자는 "감사 결과가 나온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더 확인이 필요한 단계"라면서 "대검에서 감사원의 수사 요청 사항과 고발된 사건을 검토해 합리적으로 사건을 배당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