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

주요기사



옛 광주교도소 발굴 유해 제주4·3 관련 있을까…DNA 대조

5·18 연관성 찾지 못하자 4·3 유가족 DNA와 대조 작업

[옛 광주교도소 유해 발굴]

 

제주4·3 당시 광주형무소로 끌려간 수형인들의 유해가 확인될지 관심이 쏠린다.

 

8일 제주도에 따르면 옛 광주교도소(광주형무소)에서 발견된 무연고 유해 262구의 유전자 정보를 5·18기념재단 등으로부터 넘겨받아 서울대학교 법의학연구소가 제주4·3 유가족 DNA와 대조하는 등의 신원 확인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이 유해는 2019년 12월 광주시 북구 옛 광주교도소 부지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대규모로 발견됐다.

 

발굴 당시에는 5·18 민주화운동과 관련한 행방불명자로 추정해 감식이 이뤄졌지만 5·18 민주화운동 유족과 관련된 점을 찾지 못했다.

 

제주4·3 군법회의 수형인명부에는 4·3 당시 제주에서 수형인들이 광주형무소 등 전국 형무소로 이감됐다는 기록이 있지만, 아직 제주4·3 수형인의 유해는 발굴되지 않았다.

 

제주도는 지난해 10월 대전형무소 수감자들이 집단 총살된 대전 골령골에서 제주4·3희생자인 고(故) 김한홍(1923년생)씨의 유골을 확인한 바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이르면 연말이나 내년 4월 제주4·3 희생자 추념식 이전에 결과가 나올 수 있을 것 같다"며 "광주형무소에 수감된 제주4·3 희생자가 있다는 기록이 있고 다른 형무소에서 제주4·3 유해 발굴 사례도 있어 추가 신원 확인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최신기사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