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기에 경례하는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
국가보훈부가 5일 공식 출범 초대 수장인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은 이날 오전 8시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을 참배하며 첫 일정을 시작했다.
이어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임식을 하며 보훈부의 청사진을 밝히고, 1층 현관에 새 현판을 달았다.
박 장관은 취임사에서 "국가보훈부 출범 원년을 맞아 국가를 위해 헌신하신 분들이 추앙받는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새로운 각오로 다시 출발하겠다"며 "이제 막 첫발을 내디딘 보훈부를 성공적으로 안착시켜 보훈이 국가의 정신적 근간이자 문화로 정착되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국가보훈부 승격은 1961년 군사원호청으로 출발한 지 62년 만이다.
박 장관은 용산에 미국 워싱턴DC를 상징하는 '내셔널 몰'과 같은 호국보훈공원을 조성하고, 6·25전쟁 최대의 격전지였던 낙동강 방어선에는 호국벨트를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또 그동안 국방부가 관할하다가 보훈부로 이관된 국립서울현충원은 미국 '알링턴 국립묘지'와 같이 국민이 즐겨 찾는 자유 대한민국의 상징 공간으로 조성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 고령·생계 곤란 참전 배우자를 위한 생계지원금 신설 ▲ 재해부상군경 7급에 대한 부양가족수당 신설 ▲ 국가보훈 장해진단서 도입으로 상이등급 신체검사 단축 ▲ 보훈부 위탁병원 올해 100개 추가 ▲ 보훈병원 없는 지역의 공공병원을 '준(準)보훈병원'으로 지정하겠다고 언급했다.
그는 "국가에 대한 자긍심과 공동체 의식은 날로 약화하고 이념·세대 간 갈등이 높은 때일수록 보훈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보훈이 과거의 희생과 헌신에 대한 보상을 넘어 대한민국의 정신적 근간이자 지속 가능한 미래를 견인하는 핵심 가치로 자리매김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취임식에는 한덕수 국무총리와 신범철 국방부 차관을 비롯해 보훈가족, 주한외교사절, 보훈단체장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보훈부는 부 승격에 따라 장관이 국무위원으로서 국무회의 심의·의결권을 갖고, 헌법상 부서권과 독자적 부령권도 행사하는 등 권한과 기능이 대폭 강화된다.
조직도 커져 기존 조직(1실·9국·24과)에 1실(보훈정책실)·1국(보훈의료심의관)·5과(현충시설정책과 등)가 더해져 '2실·10국·29과' 체제로 거듭난다. 직원도 26명이 늘어 337명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