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소상공인연합회는 오는 10월 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 시중은행(신한·)과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를 겪고있는 "소상공인 희망플러스 대출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지원대상은 지난해 12월 27일 이후 소상공인 방역지원금을 받은 업체 중 나이스평가정보 기준 신용점수 745점 이상이면 중신용 소기업·소상공인이 해당된다.
광주광역시소상공인연합회는 오는 10월 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 시중은행(신한·)과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를 겪고있는 "소상공인 희망플러스 대출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지원대상은 지난해 12월 27일 이후 소상공인 방역지원금을 받은 업체 중 나이스평가정보 기준 신용점수 745점 이상이면 중신용 소기업·소상공인이 해당된다.
전남대학교에서 학문을 갈고닦은 유학생이 세계 최고 권위의 이공계 대학인 인도공과대학(IIT)의 전임교수로 임용되면서, 전남대 연구 역량이 국제적으로 입증되는 성과를 거뒀다. 25일 전남대에 따르면 화학공학부 신소재화학공정 연구실(지도교수 김도형)에서 석·박사 통합 과정을 마친 인도 출신 유학생 시니바산 (Seenivasan Selvaraj) 박사가 세계적으로 명성 높은 인도 공과대학(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이하 IIT)의 전임교수로 임용됐다. 시니바산 박사는 오는 7월 1일자로 인도 고아(Goa)에 위치한 인도공과대학(IIT) 화학 및 재료공학부 전임교수로 공식 부임할 예정이다. 그는 2016년 전남대학교에 입학해 화학공학부 신소재화학공정 연구실에서 김도형, 문희 교수의 지도를 받으며, 태양광과 전기를 활용해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다른 형태로 전환하는 차세대 소재·장치 개발, 즉 (광)전기화학 기반 에너지 변환 및 저장 기술을 연구해 왔다. 이 주제로 석·박사 통합과정을 이수한 그는 지난 2020년 8월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이후 1년간 지역 내 연구기관에서 연수 과정을 마친
서울특별시교육청은 2025학년도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학생들의 진로·학업 설계를 지원하기 위해, 6월 한 달간 서울 시내 11개 교육지원청에서 서울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고교학점제 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는 지역별 교육 정보 격차 없이 모든 중학교 재학생과 학부모가 고교학점제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변화하는 고등학교 교육 환경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참여 신청은 5월 26일(월)부터 교육지원청별로 시작되며, 신청 기간 및 운영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 및 문의는 각 교육지원청별 홈페이지 또는 별도 안내 자료를 참고하면 된다. 설명회는 2부로 구성되며, 1부에서는 각 교육지원청의 고교학점제 업무 담당 장학사가 고교학점제의 기본 개념, 학점 이수 인정 기준,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학생의 진로·적성에 따른 과목 선택 방법 등을 안내한다. 이어지는 2부에서는 서울시교육청 대학진학지도지원단 소속 교사 및 장학사가 고교 내신 평가 방식의 변화, 학생 진로·학업 설계의 중요성, 그리고 2028학년도 대학입시 준비 전략 등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위원장 김창경)는 국민체감형 민간혁신 과제 사업(전담기관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일환으로 민간 이동수단 온라인 체제 기반(모빌리티 플랫폼)을 이용한 대전광역시 교통약자 이동지원 서비스를 5월 26일 개시한다고 밝혔다. 본 사업의 목적은 교통약자들이 익숙한 민간 앱을 통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이동지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대전광역시가 대전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코나투스, 카카오모빌리티 등과 협력하여 기존 대전광역시의 교통약자 이동지원 서비스인 ‘사랑나눔콜’을 민간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인 카카오 티(T) 앱에서도 호출할 수 있도록 연계하는 사업이다. 교통약자 이동지원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 구축‧연계 후 지난 2025년 3월부터 시범 서비스를 운영해 왔으며, 이용자 의견을 반영해 일부 기능을 보완하는 등 서비스 안정화를 추진했다. 본 사업에서 대전광역시는 서비스 운영과 정책 지원을,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 티(T) 앱을 통한 사용자 환경 제공을, 이동수단 해결책(모빌리티솔루션) 전문기업인 코나투스는 교통약자 이동지원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 구축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국내 개최를 맞이하여 우리 과학자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역내 과학자 간 교류를 강화하는'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과학자 초청연수'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초청연수는 과기정통부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서 중점 추진하고 있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과학자 교류 추진전략(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역내 과학자가 한국의 연구환경과 정책을 경험하고, 우리나라 과학자와의 공동연구를 기획하는 등 우리나라와의 교류 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마련됐다. 특히, 이번 초청연수에 참여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과학자에게 입국사증(비자) 발급절차 간소화를 제공하고 신속하게 출국 및 입국할 수 있도록 해 이동성 측면에서도 국경을 넘는 과학자의 교류를 지원하고자 했다. 초청연수는 ① 우리나라 연구자 담당 지도자(멘토)와 함께 집중 연수 후 향후 연구를 기획하는 10일내 교육·훈련형과 ② 국내 연구실에서 연구를 함께하는 90일내 연수형 2개 유형으로 구성되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과학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2025 가명정보 활용 경진대회’ 참가작을 오는 5월 26일부터 7월 17일까지 접수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며, 약 두 달간 가명정보의 활용 가능성과 기술 역량을 겨루는 장으로 운영된다. 가명정보 활용 경진대회는 가명정보 활용에 대한 국민적 인식을 높이고, 새로운 데이터 활용 기술을 발굴하기 위해 과기정통부와 개인정보위가 공동으로 주최해 온 행사이다. 지금까지 총 128건의 수상작이 발굴됐다. 금년에도 대회를 2개 부문, 「가명정보 활용 우수사례」와 「가명‧익명처리 기술」로 구분하여 공모하며, 2개 부문 모두 대상 수상자에게는 주최 부처 장관 표창 및 상금이 수여된다. 수상자는 과기정통부와 개인정보위 외에도 보건복지부, 금융위원회, 국세청 등 유관 부처 장관 표창을 받을 수 있다. 올해 부문별 응모주제는 다음과 같다. 우선, 「가명정보 활용 부문」은 가명정보를 활용하여 사회‧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거나 가치를 창출한 사례를 공모한다. 특히, 최근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인공지능(AI) 기술‧서비스 개발 등에 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