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고 100년이 지난 2019년, 이를 기록하고 기억하기 위한 공간 마련이 추진됐다. 이후 3년이 지난 올해 3.1절을 맞아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이하 임정기념관)이 공식 개관했다.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자주독립과 민주공화제의 정신을 자랑스러운 역사로 재조명하고, 후대에 전승할 수 있는 장(場)이 들어선 것이다.
임정기념관은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의 계기가 된 3·1운동부터 대한민국 정부 수립까지, 다양한 활동과 가치를 소개하고 있다. 자주독립국가 수립을 위해 희생한 선열들의 고귀한 정신을 들여다볼 수 있는 곳으로, 올해에는 4월 11일 제103주년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을 맞아 기념식도 이곳에서 열렸다. 100년의 기억 위에 새로운 100년의 꿈을 심고자 하는 임정기념관, 그곳을 찾아가봤다.
임정기념관은 부지 3656㎡, 연면적 9703㎡ 규모로 서울 서대문구 통일로에 자리하고 있다. 지하 3층, 지상 4층 건물에 1개의 특별전시실과 3개의 상설전시실, 복합문화공간, 옥외 상징광장, 수장고, 다목적홀, 옥상정원 등이 갖춰져 있다.
1층에 들어서면 시인 정지용의 ‘그대들 돌아오시니-재외혁명동지에게’ 일부를 발췌한 글귀가 임정기념관 개관 특별전을 찾은 관람객들의 발걸음을 맞이한다.
개관 특별전 <환국, 대한민국임시정부 돌아오다>는 ▲대한민국임시정부, 개선하다 ▲대한민국정부, 임시정부를 계승하다 ▲에필로그 등 총 3개의 대주제를 바탕으로 독립을 보장받기 위한 외교 전략, 환국을 준비하는 임시정부 사람들, 개선환영대회 등 환국 과정들을 그간의 남아있는 문서와 사진, 유물들로 그려낸다.
특히 특별전에 전시된 ‘국내외 동포에게 고함’ 성명서는 임정기념관을 대표하는 유물로 손꼽힌다. 대한민국임시정부가 국내외 동포들에게 광복 후 계획을 공식적으로 발표한 성명서로, 당면 정책 14개조를 제시했다. 귀국 후 연합국과 협조해 과도정권을 세우고, 독립국가·민주정부·균등사회를 원칙으로 삼은 신헌장에 의해 정식 정권을 조직할 것을 밝히고 있다.
임시정부 요인, 김붕준의 가방과 의복 전시물도 눈에 띈다. 환국 당시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임시의정원의 주요 문서는 13개 대형 가죽가방에 담겨 국내로 들어왔다. 이때 김붕준이 실제 사용한 가방과 의복을 중심으로 임시정부의 환국 준비 및 과정을 형상화해 이번 특별전 전시에 마련됐다.
아울러 임정기념관 1층 옥외광장에 위치한 ‘역사의 파도’ 상징벽 작품도 눈여겨볼만 하다. 가로 약 30m, 세로 약 6m에 이르는 상징벽은 임시정부의 독립 염원과 대한민국의 과거·현재·미래에 이르는 역동성을 표현하고 있다.
관람객들의 포토존으로도 제격인 상징벽은 개인 휴대전화를 통해 더욱 의미있게 즐길 수 있는 증강현실(AR) 콘텐츠도 준비돼 있다. 증강현실 콘텐츠는 독립을 열망하는 많은 사람들의 집념과 투쟁, 의지를 횃불로 표현한 작품 ‘신념’과 대한민국임시정부 27년간의 역사를 임정 청사가 위치해 있던 대표적인 장소 6곳을 청사 사진으로 구성한 작품 ‘여정’으로 구성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