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국정지지율 63.3%…민주 54.5%·국힘 27.2%[리얼미터]

  • 등록 2025.08.04 09:10:31
크게보기

한미 관세협상 타결에 3주 만에 반등…서울선 전주보다 4.1%p 하락
정당 지지율 민주 3.7%p↑, 국힘 1.8%p↓…"특검 정국 영향"

[이재명 대통령이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전국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비율이 63.3%를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4일 나왔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1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2천520명을 대상으로 대통령 국정 수행 평가를 물은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

 

이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해 '잘함'이라고 답한 비율은 전주(61.5%)보다 1.8%포인트(p) 상승했다.

 

이 대통령 지지율은 앞서 2주 연속 하락하다 3주 만에 다시 반등했다.

이 대통령 국정 수행 '잘 못함' 평가는 전주보다 1.6%p 하락한 31.4%를 기록했다. '잘 모름'은 5.3%였다.

 

지역별로 보면 이 대통령 지지율은 광주·전라(81.7%), 인천·경기(66.8%), 부산·울산·경남(62.2%) 등에서 높았다. 대구·경북에서도 전주보다 5.4%p 오른 56.8%를 기록했다.

다만 서울에서는 55.2%로 전주보다 4.1%p 하락했다.

 

리얼미터는 "한미 무역협상 타결 등 외교적 성과와 산업재해 사고 강경 대응 의지가 긍정 평가를 견인했다"며 "다만 세제개편안에 대한 부정적 여론도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주 후반에는 지지율이 소폭 하락세였다"고 분석했다.

 

연령대별로 70대 이상에서 긍정 평가가 58.2%로 전주보다 9.6%p 올랐다.

이 대통령의 주 지지층으로 꼽히는 40대와 50대에서는 긍정 평가가 76.5%, 74.6%를 각각 기록하며 연령층 가운데 가장 높았으나, 전주와 비교해서는 1.2%p씩 내렸다.

 

20대에서 긍정 평가는 50.4%, 30대에서는 52.9%로 70대보다 더 낮았다.

이념 성향 별로는 진보층의 85.1%, 중도층의 65.4%가 이 대통령의 국정 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보수층에서 긍정 평가가 38.1%에 그친 가운데, 전주보다는 3.0%p 올랐다.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1일까지 유권자 1천12명을 대상으로 한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54.5%, 국민의힘이 27.2%를 기록했다.

 

민주당 지지도는 전주보다 3.7%p 올랐고, 국민의힘은 1.8%p 하락했다.

양당 간 격차는 27.3%로 전주보다 5.5%p 벌어졌다.

 

민주당 지지도도 전국적 상승세 속 서울에서만 소폭 하락했다. 서울에서 지지도는 전주보다 1.7%p 하락한 45.1%였다.

 

국민의힘 지지도는 연령대와 지역별로 전반적 하락한 가운데, 인천·경기에서 전주보다 2.9%p 오른 25.8%를 기록했다. 남성의 국민의힘 지지율은 1.5%p 상승한 30.0%였다.

 

리얼미터는 "민주당은 이재명 정부의 안정적 국정운영에 더해 특검 정국의 반사 이익이 지지율 상승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며 "반면 국민의힘은 특검 이슈와 당내 계파 갈등이 지지율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개혁신당은 2.8%, 조국혁신당 2.6%, 진보당은 1.4%를 각각 기록했다.

두 조사는 무선 자동 응답 전화 설문조사로 진행됐다.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 조사의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각각 ±2.0%p, 정당 지지도 조사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응답률은 각각 5.3%, 4.4%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김기성 기자 giesung66@naver.com
Copyright @중소상공인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 제호 : 중소상공인뉴스 I 법인명 : 사)중소상공인뉴스
· 대표/발행인 : 이기성 I 편집국장/편집인 : 이상희
· 등록번호 : 광주-아00364호 I 등록연월일 : 2021년 3월 18일
· 사업자등록번호 : 780-82-00363
· 주소 :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376 3층 전관
· 뉴스제보 : 대표 이메일 ijsn@ijsn.kr
· 대표전화 : 1855-1696 I 팩스 : 062-528-1696
Copyright @중소상공인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